디지털 라이프 電子的生活 My Digital Life/잡다한 기술 관련 것들 16

openmediavault로 NAS 만들기 #2 - 소프트웨어 설치

지난 이야기 openmediavault로 NAS 만들기 #1 - 하드웨어의 선택 하드웨어는 준비가 되었고, NAS용 OS인 openmediavault (이하 OMV)를 설치한다. 딱히 특이한 점은 없다. 현재 안정화 버전은 5인데, 6버전이 개발 버전으로 설치 가능하다. OMV의 장점 중 하나이 다양한 플러그인이라 할 수 있는데, OMV6에서는 아직 5에서 쓸 수 있던 플로그인 일부만 사용 가능하다. 그래서, OMV5로 설치하기로 한다. 설치 파일 다운로드와 설치와 관련된 내용은 홈페이지 따라 하면 된다. https://www.openmediavault.org/?page_id=77 Download | openmediavault ISO StableGet the latest stable version Tes..

openmediavault로 NAS 만들기 #1 - 하드웨어의 선택

나는 10여년 전부터 NAS를 사용했다. Promise사에서 나온. NS4700이란 4-드라이브 NAS 제품이다. 개인용 NAS가 그닥 많이 쓰여지지 않을 시기 제품이라 인터페이스가 아주 편하다거나 하는 건 아닌데, NAS라는 것이 한번 세팅해 놓으면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읽고 쓰는데 지장만 없으면 되는 지라 10년 가까이 잘 써왔다. TV 녹화한 것, 공연장 쫓아 다니면서 찍은 사진, 모형 작업 사진 등등 꽤 많은 데이터를 넣어뒀었다. 그런데, 이게 갑자기 네트워크로 접근이 안 되어서 이것저것 추적을 해보니, NAS OS가 손상이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만의 Promise 본사에 지인이 있어 문의를 해봤으나, 이 제품이 아주 예전 제품이고 해당 제품 개발팀이 해산되어 현재는 남아 있는 이가 하나도..

PXE 서버 설정 및 활용하기

업무적으로 리눅스를 설치할 일이 많은데, 반복적인 경우나 동시에 여러대 설치하는 경우에 PXE 서버를 두고 쓰고 있다. 이 전반적인 과정이 한 방에 정리된 글이 없는 것 같아 글을 써본다. 예전에 Kickstart에 관한 글을 쓴 적이 있긴한데, 최근에 회사 팀원들과 공유하고자 썼던 글인데, 블로그에도 약간 수정하여 옮긴다. 2018.08.30 - [디지털 라이프 電子的生活 My Digital Life] - RHEL/CentOS kickstart 활용하기 RHEL/CentOS kickstart 활용하기 최근에 장비 설치 지원하다 보니 기술 지원팀 직원들이 RHEL 혹은 CentOS의 kickstart를 활용한 OS 설치를 안 쓰시는 것 같아 소개글을 내부적으로 공유했는데, 그 내용을 블로그에도 남겨 봅니..

ifcfg-ethX를 쓸 이유가 없네... nmcli

그냥 내가 편하려고 남기는 포스트... 리눅스에서 IP 설정을 수동으로 바꿀 때엔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X 파일을 수정하곤 했다. 실제로 3년 전에 N사의 서비스용으로 개발한 어플라이언스에 이 방법으로 설정을 반영하느라 구현이 꽤 복잡했었다. 이후에 nmcli에 조금씩 익숙해지면서, 이젠 ifcfg-ethX를 손댈 일이 거의 없어 보인다. 1. DHCP로 설정된 eno2를 고정 IP로 수정하기 [root@dtdev ~]# nmcli con mod eno2 ipv4.addresses 10.10.50.51/24 [root@dtdev ~]# nmcli con mod eno2 ipv4.gateway 10.10.50.1 [root@dtdev ~]# nmcli co..

야마하 BD-S681 코드 프리하기

DVD나 블루레이 같은 영상 매체는 지역코드가 있습니다. 지역코드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우리나라 최대의 DVD/블루레이 커뮤니티인 DVD프라임의 글에서 발췌해서 올려봅니다. (원문: https://dvdprime.com/g2/bbs/board.php?bo_table=blu_ray&wr_id=1937579) 지역코드는 타이틀 배급자, 제조사들이 지역 간 영화 배급과 타이틀 출시의 시차로 발생하는 혼란을 막고 판권의 로열티를 효과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전 세계를 몇개의 권역별로 나누어 해당 지역에서만 타이틀이 재생이 되도록 플레이어와 디스크에 제한을 가한 것입니다. 이러한 지역 코드는 소비자 입장에서는 제조사 편의적인 제한에 불과하기 때문에, 해외판을 구매하고 자유롭게 감상하기 위해 이를 해체하려는 노력으로 ..

RHEL/CentOS kickstart 활용하기

최근에 장비 설치 지원하다 보니 기술 지원팀 직원들이 RHEL 혹은 CentOS의 kickstart를 활용한 OS 설치를 안 쓰시는 것 같아 소개글을 내부적으로 공유했는데, 그 내용을 블로그에도 남겨 봅니다. kickstart라 함은 동일한 환경의 OS를 반복 설치해야 할 때, 미리 설정해둔 OS가 설치되도록 하는 환경 파일입니다. 제일 쉽게 쓰는 방법은 OS를 USB 메모리로 만들어서 kickstart 파일을 USB에 담아서 쓰는 것입니다. CentOS 혹은 RHEL ISO를 USB로 저장하는 툴은 rufus란 툴이 쓰기 편하더군요. https://rufus.akeo.ie/ 이 툴을 이용하여 부팅가능한 USB메모리가 준비하고요. kickstart파일은 설치된 RHEL/CentOS의 /root 에 있는 ..

반응형